= 발성법 =
발성법은 성악적으로 발성할 때 이에관여하는 성대, 폐,횡경막,호흡근육등 여러 기관을 훈련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말한다.
근본적으로 소리는 성대의 진동에 의해서 생겨난다.
여기서 생긴 소리의 싹은 횡경막의 유지를 받은 호흡의 압력에 의하여 구강.비강.흉곽,더나아가서 몸의 전체의 공명에 의하여 증폭되어 무대의 구석까지 전달된다.
좋은 발성법을 익힌 성악가의 음성은 음역이 최대한 확장되며(2옥타브이상)잘 전달되는 소리를 발한다. 고음과 저음의 이행이 자연스러우며 빛나는 음색을 갖게된다.
좋은 발성법은 올바른 호흡법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어깨나 가슴이 올라가는 흉식호흡은 피하고 복식호흡 또는 횡경막호흡으로 해야한다.
노래할 때 호흡의 지속,유지,단절은 복근을 중심으로 한 호흡근에 의하여 조절된다.
강한복근에 연결된 ,유지된 호흡은 특히 고음역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소리의 원료는 바로 공기이다.우리가 내쉬는 숨결이 음성을 만들고 더나아가서 노래를 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성구.. 두성과 흉성
성악공부를 처음시작하는 학생들이나 일반사람들의 대부분은 어느정도의 음높이로 올라가면 소리가 갑자기 변하거나 ,소리가 잘나오지 않는 것을 거의가 경험한다.
이현상은 우리의 목소리(음역)에 미묘하게 처리하여야 하는 음역(보통 환성점,환성구 라고불리움)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개인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미,파 파#(높은)근처가된다. 이음들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두성과 흉성의 경계에 있는 음들이다.
두성은 환성구의 윗소리음역 말하며 흉성은 환성구의 아래음역을 말한다.
설명을 더하면, 생리적으로 두성음역은 성대의 일부가 진동하며, 흉성보다는 배음이 적고 예리한 듯한 느낌이다.
반대로 흉성은 자연음성에 가까우며 배음이 많고 성대의 모든부분이 진동한다.
발성의 생리적 상태
호기(呼氣)에 의해 성대를 진동시켜 음성을 만들어내는 생리현상. 발성과 조음으로 말소리를 만든다. 이를 위해서는 후두의 여러 근육이 협조적으로 작용하여 성문(聲門)을 닫고, 또 성대의 접촉면을 예리하게 하여 적당히 긴장시킨다.
성대 앞쪽 3분의 1을 폐쇄시킬 때는 측륜상피열근(側輪狀披裂筋)과 외갑상피열근(外甲狀披裂筋)이, 뒤 3분의 1의 폐쇄시에는 횡근(橫筋)이, 그리고 성대 가장자리를 예리하게 만들 때는 내갑상피열근이, 또 성대 전체를 길게 늘여줄 때는 윤상갑상근(輪狀甲狀筋)이 각각 작용한다.
음악에서는 성악의 소재로서의 노랫소리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발성법 또는 발성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성대조절법뿐만 아니라 호흡법.조음법도 포함된다.
발성법은 인간이 태어날 때 내는 ‘첫번째 울음소리’가 가장 자연스럽고 가장 보편적인 것이라고 한다. 민족에 따라 언어.종교.기타의 문화사회적 환경, 기후 풍토 등의 자연환경, 악기의 영향, 형질인류학적 발성기관의 특징 등의 차이와 그 영향으로 민족 고유의 발성법을 갖게 되고, 그 고유한 발성법에 따라 모국어를 말하고 노래를 부른다.
이것이 민족음악의 발성법이다.
민요는 일반적으로 이 발성법으로 부른다. 유럽의 예술음악에서는 벨칸토 창법(아름다운 노래 라는 의미의 이태리어)으로 부르는 발성기법이 발달해 있다.
이 방법은 복식호흡을 써서 복근을 훈련함으로써 흡기로 인해 내려간 횡격막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여 호기의 다량 유출을 방지하면서 숨을 조절하여 내뱉으며, 자연상태 그대로의 위치에 있는 성대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것이다. 상반신은 편안하게 하고 흉강인두강(咽頭腔).구강.비강에 충분하게 소리를 공명시킨다. 또한, 혀와 입술 등 조음기관도 충분히 기능적으로 활용하여 아름다운 목소리에 명석한 발음이 나도록 한다.
이 발성법은 생리적으로도 합리적인 방법으로서, 독특한 바이브레이션과 자유롭고 풍부한 표현능력을 지니고 있다.
*음성의 종류별 음역*
음성의 종류를 결정하는 요인은 음역,음색,성대의 길이 성대의 모양, 구강의 모양, 후두의 모양등이 있다.
흔히 성악공부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잘못된 발성, 좋아하는 성악가의 모방, 좋아하는 음역의 모방으로 평생을 '거짓소리'를 내거나 발전이 없는 경우가 적지않다.
위의 음역은 잘훈련된 성악가의 음역이다.일반사람들의 음역은 이보다는 3,4음좁은 것이보통이다. 음성의 종류(테너,소프라노..)를 결정짓는 것은 음색.성대의크기등을 종합하여 알수있다
폐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킨 후 그 울림은 구강을 중심으로 비강,
전두강 각 머리의 작은공간의 공명으로 울림이 더하여진다
1 경구개
2 혀
3 설골
4 성대
5 갑상연골
6 후두
7 인두
8 연구개
9 목젓
10 후두개
위의 설명들은 주로 과학적 생리적인 현상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설명은 기본적인 이해를 돕지만
실제적인 '적용' 즉노래를 하는 실제'가창'에 있어서는 여러 방법을 경험하고 감각으로 익혀야한다.
다음은 그예로서 역대 이태리 성악가들의 발성내용을 적어본다
호흡법
호흡은 모든 성악가에게 무엇보다도 단순하게 행해져야한다.그러나 실제로는 어렵다
우리는 태어날 때 누구나 자연스러운 호흡법을 갖고 있다,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여러 나쁜 습관으로 인해 자연스러움을 잃고 나쁜 습관에 익숙해진다. 성악적으로
숙련되고 아름다운 노래에 필요한 호흡법은 "깊은(profondo:이태리어로 "깊은")호흡이어야 한다"
"깊은 호흡에의하여 마치 공기의 '쿠션'이 소리를 받혀줄 때(appoggiata:이태리어로 "받힌")
성대에서 생성된 소리의 시작음이 구강을 포함한 상부 공명강등에 울리는 역할을 한다".
횡경막의 깊은곳에서 유지된 호흡은 저음에서부터 최고음까지의 밑바탕이 된다.
즉 모든 소리 고음,저음은 횡경막으로 유지된 숨결위에 (sul fiato) 있어야 한다. 흔히들 발성법의 90%는 호흡법에 있다고 말한다 . 그만큼 중요한, 오랜시간에 걸쳐 좋은 성악교사의 지도와 학습자의 노력과 자기관찰에의하여 얻을수 있는, 테크닉 인것이다.
호흡연습
다소간의 도움이 될 만한 호흡연습을 소개하면.....
* 1-5까지 세면서 숨을 천천히 일정하게 들이쉰다
* 그리고 어느정도 가득 숨이 채워진후 약6-7초정도 숨을 멈춘다(목에 긴장이 안되게 할것)
* 마지막으로 천천히 일정하게 숨을 내쉰다,가능한 흉곽을 유지한채로 내쉰다
발성연습을 하면서 호흡의 콘트롤이 생기지만 우리 인간의 목소리는 연습할 수 있는 시간이
한정되있다. 즉, 지나친 연습은 오히려 해가된다.그런점에 있어서 이러한 연습은 필요하다.
내쉴때(외쪽), 들이쉴때(오른쪽)의 폐와 횡경막의 모습
앞에서 바라본 횡경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