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0.04.08 09:12

발성자료 5

조회 수 10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0||0고음을 내기 위한 훈련 => 빠싸지오에 대하여


.. 성대를 보호하면서 고음을 부드럽게 내고 또 고음을 최대 음역까지 내기 위해서는, 일정 고음에서부터 '빠싸지오'를 해서 소리를 내야 한다.
'빠싸지오'는 흔히 '소리를 싸서 내다', '소리를 회전시키다' 또는 '소리를 머리로 보내다' 등으로 표현된다.
빠싸지오는 19세기 초 이태리에서 생성·전파되었으며, 허슨(Husson)에 의해 깊게 연구되었는데, 그는 1960년대 초반에 최초로 빠싸지오의 원리를 정확하게 분석하였다. 허슨에 따르면 빠싸지오는 후두를 보호해주는 근본적 요소이며, 정확하고 확실한 성악 테크닉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 요소이다.
빠싸지오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인내 어린 연구와 학습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빠싸지오 할 때의 느낌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이러한 느낌들이 '회전하다' 또는 '소리를 싸다' 라는 식의 이상한 표현들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실제로 처음으로 빠싸지오를 하게 되면, 일반적인 소리의 생산 법칙이 파괴된, 새로운 소리차원으로 들어가는 느낌을 갖게 된다. 즉, 낮은 음에서 고음으로 올라가면 성문의 닫히는 정도가 커지면서 물리적이고 수직적인 느낌을 갖게 되는데, 일단 빠싸지오를 하게 되면 그 느낌이 수평적으로 바뀌게 되고(즉, 고음에서 내려가는 느낌을 가지게 됨), 인두와 성문이 확장되어(이때 목은 열리게 되고 모음은 닫혀서 소리나게 된다) 아주 쉽고 가볍게 고음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성악 초보 단계에 있는 학생들은 이러한 느낌을 잘 느낄 수 없을 뿐 아니라, 빠싸지오를 멀리 하는 경향이 크므로 결국 고음을 '까서'내게 된다.
고음을 올바른 방법으로 내지 않는 경우, 소리의 질에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데, 자신이 타고난 소리 성부로 노래하지 않고 거짓 소리로 노래할 경우에 특히 고음을 올바른 방법으로(빠싸지오를 해서) 낼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진짜 바리톤의 경우 소리를 싸서 내지 않게 되면 최고 음에서 소리를 밀어내게 되므로, 올바르지 못한 방법으로 소리 낸 것을 잘 알 수 있는 반면, 가짜 바리톤(테너 소리를 타고난)의 경우 빠싸지오 위치가 진짜 바리톤보다 높기 때문에, 바리톤의 모든 음역을 빠싸지오를 하지 않고도 쉽게 내게 되므로, 빠싸지오를 해서 고음을 낸 것인지 아닌지를 잘 분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런 경우 후두의 미세한 수축이 일어나게 되어 고음을 길게 끌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반해, 고음를 싸서 내게 되면 소리가 쉽게 나게 되고, 안정되며 힘있는 고음 즉, 크고 강한 고음을 낼 수 있게 된다.
각 성부의 빠싸지오 위치에 관해서는 이미 살펴보았지만, 중요한 만큼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베이스는 도3 에서 레3, 바리톤은 레3 에서 미3, 테너는 미3 에서 파3 사이에서 빠싸지오가 시작되며 콘트라알토와 메조 소프라노, 소프라노는 이보다 한 옥타브 높은 위치에서 빠싸지오가 시작된다.
그렇다면 빠싸지오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무엇으로 빠싸지오가 되었는지를 구별할 수 있을까 ?
허슨(Husson)이 사용했던 것처럼 테너에게 열린 모음(예를 들어 '아')으로 가슴의 위치에서 도3 음정부터 발성을 하도록 지시한다. 도 와 레 는 아무 문제없이 잘 내지만 미 와 파 에서는 소리가 얇아지면서 수축되는 느낌이 들게 되고 결국 소리를 까서, 그리고 질러서 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 나타나고 또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빠싸지오를 해야한다.
혹자는 빠싸지오를 용수철 작용과 같다고도 한다. 왜냐하면 순간 소리가 끊겼다가 곧바로 훨씬 부드럽고 가벼우며 어두운 색깔의 소리가 나게 되기 때문이다.(모음을 닫아서 소리내게되므로 이런 소리가 나게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빠싸지오를 했을 때 신체 각 부분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가 하는 점인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그림 12)

1) 갑상선 연골이 앞쪽 그리고 아래쪽으로 기울면서 갑상선 근육이 수축된다.
2) 성대는 길게 늘어나고 후두는 이완되며, 이에 따라 성대의 진동 폭이 증가된다.
3) 후두가 내려가고 인두 부분의 공간이 넓게 확장된다.
4) 혀의 뿌리 부분이 앞쪽으로 움직인다.
5) 연구개는 가볍게 내려간다.

까서 소리내기 싸서 소리내기


'소리를 싸서 내는 것'과 '까서 내는 것' 의 차이는 결국 빠싸지오를 해서 소리를 내느냐 아니냐의 차이인데, 빠싸지오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점차 발전되어지는 것이다.
많은 성악 교사들과 학생들이 소리의 부드러움과 소리의 크기, 그리고 소리의 강도를 각각 다른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소리 크기와 강도를 중심으로 성악 학습 및 지도를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성악 학습 초기에는 소리의 부드러움에 초점을 맞추어 훈련하여야 한다. 즉, 소리를 밀지 않고, 아포지오 한 상태에서 균형 있게 내는 훈련을 먼저 해야 한다.
만약 교사가 이것을 무시하여 소리 크기와 강도만을 중심으로 교육하게 되면, 빠싸지오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되어 소리의 질이 떨어지게 되고(얇은 소리가 나게 된다), 이것을 바로잡기 위하여 또다시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앞에서 우리는 빠싸지오를 할 때의 신체 각 기관의 움직임을 살펴보았는데, 빠싸지오할 때 일어나는 갑상선 근육의 수축은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지만(그러나 '이' 발음을 하게 되면 갑상선 근육이 자동으로 수축되는데, 성악 교사들이 고음에서 '이' 발성을 주로 시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빠싸지오를 했을 때 눈으로 그리고 귀로 느낄 수 있는 몇 가지 표시가 있다.

1) 소리를 싸서 내게 되면 모든 모음이 닫혀서 소리가 나게되므로, 빠싸지오를 하게 되면 모음을 까서 노래할 수 없게 된다.
2) 빠싸지오를 하게 되면 후두가 약간 내려가게 된다. 목 앞의 튀어나온 부분(이 부분은 '아담의 사과 조각'이라 불리운다)에 손을 대고 소리를 싸서 내면, 이 부분이 약간 내려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후두가 내려가게 되면 갑상선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가성에서는 갑상선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
3) 빠싸지오를 하게 되면 인두 공간이 넓어짐과 동시에 혀가 올라가게 되어 혀의 뿌리 부분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어느 음정에서든지 혀를 아래로 붙여서 노래하게 되면 빠싸지오를 잘 할 수 없게 된다.

위의 내용 중, 빠싸지오를 하게 되면 열린 모음으로 노래할 수 없다는 말은 음정이 올라갈수록 모음을 열어서 얇게 소리내는 훈련을 받은 학생들에게는 납득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성악 교사는 학생에게 모음 발성을 시켜 빠싸지오를 훈련시켜야 하며, 빠싸지오를 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피하지 말고 해결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고음에서 모음을 반드시 닫아서내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때 모든 모음을 일정하게 닫아서 내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에게 빠싸지오 훈련을 시킬 때는 각 음정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바로바로 빠싸지오를 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간격이 생기게 되면 모든 음을 똑같이 일정하게 닫아내려고 신경 쓰게 되고, 이것은 결국 소리를 싸서 내는 활동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모든 음계를 순서대로 빠싸지오 하려면 먼저 한 음씩 따로 빠싸지오 훈련을 하는 것이 좋으며, 첫 음은 싸서 내고 마지막음은 까서 내는 것(또는 이와 반대로)을 교대로 여러 번 반복하도록 한다.
또한 빠싸지오를 할 때 소리를 가볍게 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은 브레이크를 밟거나 악셀을 밟은 발을 떼어내는 것만으로는 자동차의 기어 변속이 될 수 없는 것처럼, 한 가지 작용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소리를 가볍게 낼 때는 후두가 올라갈 때 나는 소리처럼 소리가 얇아져서는 안되며, 일반적인 빠싸지오 시작 위치4도 아래 음정에서부터 가벼우면서도 어두운 소리를 내는 것이 좋다.
빠싸지오를 하게 되면 소리는 더 어두워지게 되는데, 이것은 소리를 싸서 냈을 때(이때는 구개막이 약간 내려가고 머리에 위치한 리조난자가 넓어지게 됨)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고음를 싸서내지는 않고, 단지 모음을 '아 → 오', '에 → 에우', '오 → 우'(7장 참고)로 바꿔내어 소리 색깔을 어둡게 만들게 되면, 고음을 질러내게 되거나 목에 갇힌 소리가 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슴으로만 소리를 내거나, 자기 소리보다 더 어둡게 소리를 낼 경우 혀와 입의 잘못된 위치로 인해 리조난자가 구개 뒷부분 또는 인두에만 한정되게 된다. 이런 경우에 빠싸지오를 하고 소리를 위쪽 리조난자(마스께라)로 보내기 위해서는 비음 훈련을 하는 것이 좋다.
비음화란 구개막을 내려 인두강과 비강 그리고 내비강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구개막의 하강은 완전히 일어날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1) 입을 다문 상태에서는 구개막이 완전히 내려가게 된다. 이 경우에 비강에서 느껴지는 진동 에너지의 강도(비음화의 정도를 나타내 줌)는 최대가 된다. 혀 뿌리와 연구개(구개막)를 연결시켜 다리를 만들게 되면 입을 연 상태에서도 이와 같은 비음화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입을 연 상태에서 '아' 소리를 낼 경우 연구개를 든 위치에서(비음이 아님) 연구개를 내린 위치로(완벽한 비음) 바꾸게 되면 비음화가 되는데, 거울을 보면서 구개를 내리고 혀뿌리를 올리면 된다.( 빠싸지오를 할 때도 혀뿌리가 올라가게 된다)
2) 모음을 비음으로 내게 되면 구개막이 부분적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즉, 모음에 자음 'ㄴ'을 붙여 소리 낸 경우를 말한다.(안, 엔, 인, 운, 온, 나, 네 등)
이것은 비음화 훈련 가운데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으로써 자음을 붙여 소리냄으로써 비강이 열리게 되어 새로운 리조난자가 생기게 된다.

즉, 이처럼 모음에 'ㄴ'을 붙여 가볍게 비음화시키게 되면 소리가 마스께라에서 나게 된다.
또한 고전적인 모음 아르페지오 1, 3, 5, 8, 31 번에 'ㄴ'을 붙여 강하게 비음화시키는 것은 빠싸지오를 느끼게 하기 위한 임시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다음의 훈련은 빠싸지오를 느끼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1) 아르페지오를 빠른 속도로 반복한다.(소리의 흐름과 소리의 폭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2) 각 아르페지오의 최 고음을 강조하여 낸다.
3) 같은 아르페지오를 여러 번 연속하여 반복한다.
4) 소리의 수평적 느낌을(소리가 바깥으로 나가는 느낌) 수직적 느낌(위로 즉, 코로 직접 나가는 느낌)으로 바꾸어 갖는다.
5) 소리를 귀로 느끼는 것이 아니라 코 내부의 진동으로 느낀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리를 가볍게 내는 것인데, 이것은 빠싸지오를 쉽게 하도록 도와주며, 가슴에서 나는 소리(무거움, 두꺼움)를 머리에서 나는 소리(부드러움, 고음이 잘 나게 됨)로 바꾸어 주어 최 고음까지 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소리를 비음화하고 가볍게 내는 것은 성대를 보호해 주고, 무엇보다도 빠싸지오 학습을 용이하게 해 준다. 빠싸지오를 느끼고 잘 하게 되는 것은 고음을 정확하게 그리고 올바르게 낼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고음을 정확하게 내는데는 충분한 아포지오와 후두의 이완 그리고 마스께라에 위치한 리조난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희대 이 상 녕 교수  



  1. No Image 13Jul
    by 김영식
    2010/07/13 by 김영식
    Views 666 

    목련화 /조영식 작시,김동진 작곡/ 테너 엄정행

  2. 십자가의 길*******인순이(데레사)

  3. Chloe Agnew/Panis Angelicus (생명의 양식)

  4. 장례미사 고별식 ( 이 영혼을 받으소서 )

  5. 생활성가(주님의 기도)

  6. ♬사랑의 슬픔 ♬

  7. No Image 04Jul
    by 필레몬
    2010/07/04 by 필레몬
    Views 915 

    비오는날 감상하면

  8. ♬주님을 만나고 부터는......♬

  9. ♬아베 마리아........(Ciulio Caccini) ♬

  10. 클래식 연가모음

  11. No Image 02Jul
    by 김영식
    2010/07/02 by 김영식
    Views 1029 

    ♬사랑은 언제나 오래참고 /송창식+윤형주+김세환♬

  12. 겸손의 보답

  13. 내 생각을 남에게 주입하지 말라

  14. 즐거운 삶을 만드는 마음

  15. ~ 서로의 만남을 감사하게 하소서 ~

  16. No Image 12Jun
    by 김영식
    2010/06/12 by 김영식
    Views 770 

    사랑의 빚을 갚는 법

  17. 편지

  18. No Image 21May
    by 양프란치스코
    2010/05/21 by 양프란치스코
    Views 891 

    보이소프라노 곡 감상

  19. No Image 20May
    by 김영식
    2010/05/20 by 김영식
    Views 806 

    음악치료가 우리의 정신건강을 맑게 해 준다.

  20. 무릎을 꿇고 있는 나무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미 사 시 간
06:30    
    19:30
10:00  
    19:30
10:00  
  특 전
18:00
주일 06:30 10:30

예비신자 교리반 안내
구 분 요 일 시 간 
일반부 주 일 09:00

50867 김해시 진영읍 진영산복로 110 진영성당
전화 : 055-343-2018 , 팩 스 : 055-345-2357

Copyright (C) 2019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